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근속연수·입사일 기준 연차 계산법 표로 한눈에 보는 완벽 정리

by 도움er 2025. 10. 8.
반응형

근속연수·입사일 기준 연차 계산법 표로 한눈에 보는 완벽 정리

직장인이라면 본인의 연차가 몇개인지 궁금하실 거에요. 벌써 5년차가 되는 시점인데, 정확히 몇개의 연차를 쓸 수 있을지 계산해보니 생각보다 복잡하더라고요. 저도 직접 계산해본 경험과 함께 명쾌한 답변을 드릴게요!

🎯 빠른 답변: 예를들어 2021년 입사자의 2026년 연차는 17개입니다!

2021년 입사 기준으로 2026년은 근속 5년차에 해당하며, 기본 15일 + 가산 연차 2일로 총 17개의 연차를 받게 됩니다.

2021년 입사자의 연차 개수 상세 계산법

2021년에 입사한 분들의 연차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연도별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연차는 근속연수에 따라 달라지는데, 특히 3년 이상부터는 2년마다 1일씩 가산됩니다.

연도별 연차 개수 변화

연도 근속기간 연차 개수 비고
2021년 입사~1년 미만 최대 11개 1개월 개근시 1개씩
2022년 1년차 15개 기본 연차
2023년 2년차 15개 기본 연차
2024년 3년차 16개 기본 15개 + 가산 1개
2025년 4년차 16개 기본 15개 + 가산 1개
2026년 5년차 17개 기본 15개 + 가산 2개
💡 핵심 포인트
가산 연차는 3년 이상부터 2년마다 1일씩 추가됩니다. 즉, 3년차에 16일, 5년차에 17일, 7년차에 18일... 이런 식으로 증가합니다.

연차 가산 규칙과 계산 원리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부분이 바로 연차 가산 규칙입니다. 실제로 제가 처음 계산할 때도 3년차부터 매년 1개씩 늘어나는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더라고요!

연차 가산의 정확한 규칙

  1. 1년차~2년차: 기본 15개
  2. 3년차부터: 2년마다 1개씩 가산
  3. 최대 한도: 25개까지
🔍 실제 계산 예시
2021년 3월 입사 → 2024년 3월(3년차) 16개, 2026년 3월(5년차) 17개, 2028년 3월(7년차) 18개

따라서 2021년 입사자는:

  • 2022년(1년차): 15개
  • 2023년(2년차): 15개
  • 2024년(3년차): 16개 (가산 1개)
  • 2025년(4년차): 16개
  • 2026년(5년차): 17개 (가산 2개)

회사별 연차 산정 방식에 따른 차이점

실제로는 회사마다 연차를 계산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어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1. 입사일 기준 연차 산정

개인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1년씩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2021년 6월 15일 입사했다면 매년 6월 15일에 새로운 연차가 발생합니다.

2. 회계연도 기준 연차 산정

매년 1월 1일에 모든 직원에게 일괄적으로 연차를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관리하기는 편하지만, 중도 입사자는 비례해서 받게 됩니다.

⚠️ 중요한 점
회계연도 기준으로 관리해도 퇴직할 때는 반드시 입사일 기준으로 재계산해서 부족한 부분은 연차수당으로 보상해야 합니다.

 

연차는 소중한 근로자의 권리이니만큼 정확히 알고 계시면 좋을 것 같아요. 특히 장기근속을 하실 분들이라면 앞으로의 연차 계획도 세우시는데 도움이 될 거예요!

혹시 다른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나 노무사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연차, 제대로 챙기시길 바라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