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예상세액 조회해보셨나요?”
혹은 올해 세금 많이 나올 것 같으신가요?
“아니, 이게 왜 이렇게 많이 나와?” 싶으면 바로 이 전략 실행해야 합니다.
예상세액이 많이 나온 분들이 당장 실행하면 공제액을 확 줄일 수 있는 전략
딱 3계좌(연금저축·IRP·ISA)를 기준으로 가장 효율적인 방법만 간단히 정리해드릴게요.
복잡한 절세 이론 없이, 진짜로 “바로 적용하면 바로 혜택 나오는 것”만 담았습니다.
2025년 연금계좌 세액공제 한도
| 항목 | 연금저축 | IRP (개인형퇴직연금) | ISA→IRP 전환 | 합계 가능 |
|---|---|---|---|---|
| 연간 납입한도 | 1,800만원 | 1,800만원 | 제한 없음 | 1,800만원 |
| 세액공제 한도 | 600만원 | 900만원 | 300만원 (추가!) | 최대 1,200만원! |
| 공제율 | 연봉 5500 미만: 16.5%, 초과: 13.2% | 10% | - | |
| 가입대상 | 누구나 | 소득이 있는사람 | IRP 가입자 | - |
세액공제율 & 환급액 계산 (실제 예시)
📋 시나리오 1: 연봉 5,500만원 이하 직장인 (가장 많은 혜택)
| 구분 | 금액 | 계산 | 결과 |
|---|---|---|---|
| 총급여 | 5,000만원 | - | - |
| 세액공제율 | 16.5% | 5,500만원 이하이므로 | 높음! |
| 연금저축 납입 | 600만원 | - | - |
| 환급액 | 99만원 | 600만원 × 16.5% | - |
| IRP 추가 납입 | 300만원 | - | - |
| 환급액 | 49.5만원 | 300만원 × 16.5% | - |
| 총 환급액 | 148.5만원! | 합계 | 🎉 |
ISA 만기 자금 → IRP 전환 완벽 가이드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만기가 되었거나 3년 이상 경과했다면, 지금이 절세의 골든타임입니다!
ISA -> IRP 전환으로 30만원 추가 공제로 최대 178.5만원 까지 환급받을 수 있네요.
📌 ISA→IRP 전환 필수!
| 항목 | 내용 |
|---|---|
| 기본 IRP 한도 | 연 900만원 세액공제 |
| ISA 전환 추가 | 최대 300만원 추가 공제 (별도!) |
| 합계 가능 | 900만원 + 300만원 = 1,200만원까지! |
| 추가공제 공식 | ISA 전환액 × 10% |
ISA→IRP 전환시 꼭 60일 이내에 이체해야해요!
⚠️ ISA→IRP 전환 시 주의사항
- 60일 기한: ISA 만기(해지) 후 60일 내에 입금해야 함 (지나면 공제 불가!)
- 현금화 필수: 펀드·주식 등 모든 자산을 현금으로 환매해야 함
- 추가공제 한도: ISA 전환액이 아무리 크더라도 300만원까지만 (10% 계산 결과 높으면 300만원으로 제한)
- 연금 인출: IRP는 55세 이후에만 인출 가능 (중도해지 패널티)
- ISA 재가입: ISA 해지 후 바로 재가입 가능 (새로운 3년 기간 시작)
연금저축 vs IRP 선택 가이드
| 항목 | 연금저축 | IRP |
|---|---|---|
| 가입자격 | 모든 소득자 (근로자/자영업자) | 퇴직금 있는 사람, 또는 자유가입 |
| 세액공제 한도 | 600만원 | 900만원 (IRP 전용) |
| 공제율 | 16.5% (5,500만원 이하) | 16.5% (5,500만원 이하) |
| 추천 대상 | 단순하게 세액공제만 원할 때 | 더 큰 한도가 필요할 때 |
| 중도인출 | 불가능 | 제한적으로 가능 |
연금계좌 세액공제 신청 체크리스트
STEP 1: 계좌 개설 (이미 안 했다면)
☐ 연금저축 가입 (은행/증권사/보험사)
☐ IRP 가입 (퇴직금 이관 또는 자유가입)
☐ ISA 확인 (만기 또는 3년 경과 여부)
STEP 2: 남은 11~12월 납입 계획
☐ 연금저축: 12월 31일까지 최대 600만원 납입
☐ IRP: 12월 31일까지 추가 300만원 (또는 더) 납입
☐ ISA→IRP: 60일 기한 내 전환 완료
STEP 3: 내년 연말정산 준비
☐ 홈택스 미리보기에서 자동 반영 확인
☐ ISA 전환액 영수증 보관
☐ 은행/증권사 납입 확인서 다운로드
STEP 4: 혹시 모르니 저축 추가
☐ 11월 중: 연금저축 1차 납입
☐ 12월 중: 연금저축 2차 + IRP 납입
☐ 12월 말: ISA→IRP 최종 확인
놓치면 안 될 최종 팁 5가지
팁 1️⃣ : "1,200만원 세액공제" 목표를 아세요?
연금저축 600만원 + IRP 300만원 + ISA→IRP 300만원 추가 = 최대 1,200만원! 이 한도를 모두 활용하면 총급여 5,500만원 이하인 경우 최대 178만원의 세액공제(세액 + 지방소득세)를 받을 수 있습니다.
팁 2️⃣ : ISA 전환 60일 기한을 절대 놓치지 마세요
ISA 만기일로부터 60일 이내에 현금화되지 않으면 추가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지금 ISA 계좌를 확인해서 만기가 임박했다면 바로 행동하세요!
팁 3️⃣ : IRP는 퇴직금이 없어도 가입 가능
일부는 IRP가 퇴직금만 받는 사람을 위한 계좌라고 생각하지만, "자유가입" 방식으로 누구나 추가 가입할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만으로는 부족하다면 IRP를 동시에 운영하세요!
팁 4️⃣ : 11월 지금 당장 입금하세요
12월 말이 되면 늦습니다. 11월 중에 연금저축·IRP를 먼저 입금해서 운용 기간을 최대한 확보하세요. 이익이 생기면 세금 혜택도 크고, 운용 기간도 길어집니다.
팁 5️⃣ : 소득이 5,500만원을 넘어도 연금계좌는 필수
세액공제율이 13.2%로 떨어지지만, 여전히 환급받을 가치가 있습니다. 5,500만원 초과자도 900만원 기준으로 계산하면 118.8만원의 환급(지방소득세 포함)을 받을 수 있어요!
지금이 마지막 기회에요!!
연금저축과 IRP는 단순한 절세 수단이 아니라, 노후를 준비하면서 동시에 현재의 세금 부담을 줄이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이 기회를 절대 놓치지 마세요! 지금 바로 은행이나 증권사에 가서 계좌를 개설하고, 12월 말까지 최대한 입금해서 148만원 이상의 환급금을 받아보세요! 🎉